728x90
반응형
c언어는 다양한 자료형을 가지고 있으며,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. 😉😉😉
자료형 | 크기 | 값의 표현 범위 | |
정수형 | char | 1바이트 | -128 ~ 128 |
short | 2바이트 | -32,768이상 32,767이하 | |
int | 4바이트 | -2,147,483,648 이상 2,147,483,648이하 | |
long | 4바이트 | -2,147,483,648 이상 2,147,483,648이하 | |
long long | 8바이트 | -9,223,372,036,854,775,808 이상 | |
9,223,372,036,854,775,808 이하 | |||
실수형 | float | 4바이트 | ± 3.4 x 10−37이상 |
± 3.4 x 1038이하 | |||
double | 8바이트 | ± 1.7 x 10−307이상 | |
±1.7 x 10+308이상 | |||
long double | 8바이트 이상 | double이상의 크기 |
바이트가 클수록 표현하는 범위가 넓다고 볼수 있다. 예를들어, short는 2바이트(16비트)를 나타내므로 216개이다.
이렇게 다양한 자료형이 존재하는 이유는 메모리를 낭비하지 않고,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.
참고자료 : 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C,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역변수와 지역변수에 static 활용하기 (0) | 2020.12.13 |
---|---|
포인터 대상의 const 선언 (0) | 2020.12.12 |
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 (0) | 2020.12.12 |